문제 링크
난이도 : Lv. 3

문제 내용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니니즈웍스의 인턴인 앙몬드는 명령어 기반으로 표의 행을 선택, 삭제, 복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과제를 맡았습니다. 세부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칠해진 칸은 현재 선택된 행을 나타냅니다. 단, 한 번에 한 행만 선택할 수 있으며, 표의 범위(0행 ~ 마지막 행)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표를 편집합니다.

“U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위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D X”: 현재 선택된 행에서 X칸 아래에 있는 행을 선택합니다. “C” : 현재 선택된 행을 삭제한 후, 바로 아래 행을 선택합니다. 단, 삭제된 행이 가장 마지막 행인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합니다. “Z” : 가장 최근에 삭제된 행을 원래대로 복구합니다. 단,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 표에서 “D 2”를 수행할 경우 아래 그림의 왼쪽처럼 4행이 선택되며, “C”를 수행하면 선택된 행을 삭제하고, 바로 아래 행이었던 “네오”가 적힌 행을 선택합니다(4행이 삭제되면서 아래 있던 행들이 하나씩 밀려 올라오고, 수정된 표에서 다시 4행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다음으로 “U 3”을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D 4”를 수행한 다음 “C”를 수행한 후의 표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5행이 표의 마지막 행 이므로, 이 경우 바로 윗 행을 선택하는 점에 주의합니다.

다음으로 “U 2”를 수행하면 현재 선택된 행은 2행이 됩니다.

위 상태에서 “Z”를 수행할 경우 가장 최근에 제거된 “라이언”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다시한번 “Z”를 수행하면 그 다음으로 최근에 제거된 “콘”이 적힌 행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이때, 현재 선택된 행은 바뀌지 않는 점에 주의하세요.

이때, 최종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 표의 행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 처음에 선택된 행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수 k, 수행한 명령어들이 담긴 문자열 배열 cm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명령어를 수행한 후 표의 상태와 처음 주어진 표의 상태를 비교하여 삭제되지 않은 행은 O, 삭제된 행은 X로 표시하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5 ≤ n ≤ 1,000,000 0 ≤ k < n 1 ≤ cmd의 원소 개수 ≤ 200,000 cmd의 각 원소는 “U X”, “D X”, “C”, “Z” 중 하나입니다. X는 1 이상 300,000 이하인 자연수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X가 나타내는 자연수에 ’,’ 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23,456의 경우 123456으로 주어집니다. cmd에 등장하는 모든 X들의 값을 합친 결과가 1,000,0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표의 모든 행을 제거하여, 행이 하나도 남지 않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본문에서 각 행이 제거되고 복구되는 과정을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이름” 열을 사용하였으나, “이름”열의 내용이 실제 문제를 푸는 과정에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이름”열에는 서로 다른 이름들이 중복없이 채워져 있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주세요. 표의 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원래대로 복구할 행이 없을 때(즉, 삭제된 행이 없을 때) “Z”가 명령어로 주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정답은 표의 0행부터 n - 1행까지에 해당되는 O, X를 순서대로 이어붙인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정확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5 ≤ n ≤ 1,000 1 ≤ cmd의 원소 개수 ≤ 1,000 효율성 테스트 케이스 제한 사항 주어진 조건 외 추가 제한사항 없습니다.

문제 분석

작성한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int n, int k, vector<string> cmd) {
    vector<bool> answer(n, true);
    stack<int> deleted;
    int lastIdx = n - 1;
    // cout << "Start K : " << k << endl;
    for(auto c : cmd) {
        // cout << "Current command : " << c << endl;
        string moveStr;
        int move;
        int cnt;
        // c는 명령어 한 줄
        switch(c[0]) {
            case 'U' :
                moveStr = c.substr(2);
                move = stoi(moveStr);
                cnt = 0;
                while(cnt < move) {
                    k--;
                    if(answer[k]){
                        cnt++;
                    }
                }
                
                break;
            case 'D' :
                moveStr = c.substr(2);
                move = stoi(moveStr);
                cnt = 0;
                while(cnt < move) {
                    k++;
                    if(answer[k]){
                        cnt++;
                    }
                }
                break;
            case 'C' :
                answer[k] = false;
                deleted.push(k);
                if(k == lastIdx) {
                    k--;
                    lastIdx = k;
                }
                else {
                    k++;
                }
                break;
                
            case 'Z' :
                int undo = deleted.top();
                answer[undo] = true;
                if(lastIdx < undo) lastIdx = undo;
                deleted.pop();
                break;
                 
        }
        // cout << "Current K : " << k << "\n================" << endl;
    }
    string answerStr = "";
    for(int i = 0; i < n; i++) {
        if(answer[i]) answerStr += "O";
        else answerStr += "X";
    }
    return answerStr;
}

원래는 이렇게 하려고 했는데, 효율성 테스트에서 떨어지기도 하고 정확도에서도 자꾸 틀려서 딥시크한테 물어봄

딥시크의 조언 :

lastIdx 관리 오류:

lastIdx는 현재 존재하는 행 중 가장 큰 인덱스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삭제(C) 시 k == lastIdx인 경우 k—와 lastIdx = k를 수행하지만, 연속 삭제 시 lastIdx가 잘못 갱신될 수 있습니다.

예시:

초기: n=5, lastIdx=4

k=4에서 삭제 → lastIdx=3

k=3에서 삭제 → lastIdx=2 → 이후 복구(Z) 시 lastIdx가 최신화되지 않아 논리 오류 발생.

이동(U/D) 연산의 비효율성:

현재 코드는 한 칸씩 이동하며 삭제된 행을 건너뛰는 방식으로, 최악의 경우 O(N) 시간이 소요됩니다.

n=1,000,000인 경우 시간 초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구(Z) 후 k 위치 문제:

복구된 행이 현재 k보다 작은 위치에 있으면 k를 조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것 보다 행 이동에서 시간을 많이 소모한다는걸 깨달음…

그래서 딥시크 추천 + 프로그래머스 책 추천인 링크드 리스트 두 개 사용하기를 해봄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int n, int k, vector<string> cmd) {
    // 링크드 리스트 두 개 쓰기
    // 1. 이전의 위치 prev
    // 2. 이후의 위치 next
    vector<int> up(n+2), down(n+2);
    for(int i = 0; i < n+2; i++) {
        up[i] = i - 1;
        down[i] = i + 1;
    }  
    
    // 삭제한 이력 저장용 스택
    stack<int> deleted;
    
    // prev[0] 과 next[n]은 임시 공간임. 따라서 임시 공간이 생긴거에 맞게 현 위치 k를 증가.
    k++;
    
    for(auto c : cmd) {
        // 데이터를 삭제
        if(c[0] == 'C') {
            // 데이터를 지운다 = 현재 k 인덱스를 가리키는 걸 지움
            // 지운 k의 인덱스를 스택에 집어넣음
            deleted.push(k);
            up[down[k]] = up[k];
            down[up[k]] = down[k];
            if(down[k] == down.size()) k = up[k];
            else k = down[k];
 
        }
        // 데이터를 복구
        else if (c[0] == 'Z') {
            int undo = deleted.top();
            deleted.pop();
            down[up[undo]] = undo;
            up[down[undo]] = undo;
            
        }
        else {
            // 이동하는 부분
            int move = stoi(c.substr(2));
            for(int i = 0; i < move; i++) {
                if(c[0] == 'U') k = up[k];
                else k = down[k];
            }
        }
    }
    
    
    string answer = "";
    for(int i = 0; i < n; i++){
        answer += "O";
    }
    while(!deleted.empty()){
        answer[deleted.top()-1] = 'X';
        deleted.pop();
    }
    return answer;
}

이랬는데 확실히 아까 전보다는 테스트 통과가 많이 됐지만 여전히 틀림.
왜 그런지 또 딥시크한테 물어봤는데 그냥 내가 조건을 잘못 써서 그런거였음

최종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int n, int k, vector<string> cmd) {
    // 링크드 리스트 두 개 쓰기
    // 1. 이전의 위치 prev
    // 2. 이후의 위치 next
    vector<int> up(n+2), down(n+2);
    for(int i = 0; i < n+2; i++) {
        up[i] = i - 1;
        down[i] = i + 1;
    }  
    
    // 삭제한 이력 저장용 스택
    stack<int> deleted;
    
    // prev[0] 과 next[n]은 임시 공간임. 따라서 임시 공간이 생긴거에 맞게 현 위치 k를 증가.
    k++;
    
    for(auto c : cmd) {
        // 데이터를 삭제
        if(c[0] == 'C') {
            // 데이터를 지운다 = 현재 k 인덱스를 가리키는 걸 지움
            // 지운 k의 인덱스를 스택에 집어넣음
            deleted.push(k);
            up[down[k]] = up[k];
            down[up[k]] = down[k];
            if(down[k] == n+1) k = up[k];
            else k = down[k];
 
        }
        // 데이터를 복구
        else if (c[0] == 'Z') {
            int undo = deleted.top();
            deleted.pop();
            down[up[undo]] = undo;
            up[down[undo]] = undo;
            
        }
        else {
            // 이동하는 부분
            int move = stoi(c.substr(2));
            for(int i = 0; i < move; i++) {
                if(c[0] == 'U') k = up[k];
                else k = down[k];
            }
        }
    }
    
    
    string answer = "";
    for(int i = 0; i < n; i++){
        answer += "O";
    }
    while(!deleted.empty()){
        answer[deleted.top()-1] = 'X';
        deleted.pop();
    }
    return answer;
}

이동이 잦을 때에는 링크드 리스트 생각하자 + 범위 잊지말자

우수 코드 분석

// 프로그래머스 책 참고
 
#include <stack>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int n, int k, vector<string> cmd) {
    stack<int> deleted;
    vector<int> up;
    vector<int> down;
 
    for(int i = 0; i < n + 2; i++) {
        up.push_back(i-1);
        down.push_back(i+1);
    }
 
    k++;
 
    for(int i = 0; i < cmd.size(); i++) {
        if (cmd[i][0] == 'C') {
            deleted.push(k);
            down[up[k]] = down[k];
            up[down[k]] = up[k];
 
            if (down[k] == n + 1)
                k = up[k];
            else
                k = down[k];
        }
        else if (cmd[i][0] == 'Z') {
            int r = deleted.top();
            down[up[r]] = r;
            up[down[r]] = r;
            deleted.pop();
        }
        else {
            int sz = stoi(cmd[i].substr(2));
            if(cmd[i][0] == 'U') {
                for(int j = 0; j < sz; j++){
                    k = up[k];
                }
            }
            else if (cmd[i][0] == 'D') {
                for(int j = 0; j < sz; j++) {
                    k = down[k];
                }
            }
        }
    }
 
    string answer;
    answer.append(n, 'O');
    while(!deleted.empty()) {
        answer[deleted.top() - 1] = 'X';
        deleted.pop();
    }
 
    return answer;
}